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이 사업 한눈에 보기
항목내용
대상 | 경기도 내 미취업 청년(연령·세부 기준은 시·군 공고 따름) |
지원 내용 |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실비 지원(개인 결제 건) |
지급 방식 | 계좌이체 등 시·군 공고 기준 |
기간 | 대체로 연중 특정 기간 운영,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
접수 | 잡아바 어플라이 온라인 신청(PC/모바일) |
필수 서류 | 거주·신분, 응시 확인, 미취업 증빙, 결제 증빙 등 |
유의 | 응시일 기준 미취업 원칙, 시·군별 세부 조건 상이 |
의정부시 공고 파일을 함께 참고하여 본문을 구성했습니다. 단, 최신 변경 사항은 시·군 공식 공고를 최우선으로 확인하세요.
2. 지원 대상과 자격 요건
2-1. 거주·연령
- 거주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
- 연령 : 일반적으로 청년 기준(예: 만 19~39세)을 적용하나, 조례·공고에 따라 상이
- 동일 연령이라도 시·군별 예외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거주지 공고를 확인하세요.
2-2. 미취업 판단(응시일 기준)
- 시험 ‘응시일’에 미취업이면 원칙적으로 대상
- 응시 이후 취업해도 응시일 기준 충족 시 인정되는 경우가 다수
- 일부 단기근로·초단시간 근로는 미취업 간주 사례 존재(시·군별 상이)
2-3. 인정 시험 범위
- 어학시험 + 국가기술·국가공인 자격 등 공식·유효 시험군 중심
- (지원분야)어학 19종, 한국사, 국가기술자격 540종, 국가전문자격 347종*, 국가공인 민간자격 97종
※ 자격증 수는 2025. 3월 말 기준, 「국가기술자격법」, Q-net, PQI에서 확인된 사항이며, 변동 가능
* 자동차운전면허는 1종 특수면허만 지원
지원 가능 항목
구분 | 언어 | 응시과목 | 비고 | |
어학 | 영어 | TOEFL | 19종 | |
IELTS (아이엘츠) |
지필 | |||
컴퓨터 | ||||
TOEIC | 일반 | |||
스피킹 | ||||
라이팅 | ||||
TEPS | 일반 | |||
스피킹 | ||||
스피킹&쓰기 | ||||
G-TELP | 일반 | |||
스피킹/쓰기 | ||||
일본어 | JLPT | |||
JPT / SJPT | ||||
중국어 | HSK | 필기(IBK:컴퓨터) | ||
필기(PBT:지필) | ||||
회화(HSKK) | ||||
TSC | 회화 | |||
BCT | 듣기/읽기 | |||
듣기/읽기/쓰기 | ||||
말하기 | ||||
독일어 | Test DAF | |||
Goethe Zertifikat(괴테 저티피커트) | ||||
프랑스어 | DELF / DALF | |||
러시아어 | 토르플(TORFL) | |||
스페인어 | 델레(DELE) | |||
한국어 | KBS | |||
각종언어 | FLEX(플렉스) | 듣기·읽기 | ||
쓰기/말하기 | ||||
SNULT(스널트) | 듣기/읽기 | |||
OPIc(오픽) / OPI | ||||
국가기술자격 | 한국사 | 1종 | ||
국가기술자격법 : 한국산업인력공단(q-net.or.kr) | 540종 | |||
국가전문자격 | 국가전문자격 : 한국산업인력공단(pqi.or.kr) | 347종 | ||
국가공인 민간자격 | 국가공인 민간자격 : 한국직업능력연구원(pqi.or.kr) | 97종 |
3. 지원 내용과 혜택 (경기청년 응시료 실비 지원 한도)
- 지원 항목: 개인이 결제한 응시료 실비(환급/보전 개념)
- 지원 한도: 시·군 공고 기준(예: 일부 시·군은 개인 한도 운영)
- 혜택 포인트
- 반복 응시로 늘어나는 비용 부담 완화
- 어학·자격 취득을 통한 취업 경쟁력 강화
- 응시료 때문에 미뤘던 시험을 실행 가능하게 만듦
실제 한도·횟수·회계 처리 방식은 시·군 공고가 기준입니다.
4. 신청 기간·방법·절차 (잡아바어플라이 응시료 지원 접수)
- 기간 : 대체로 상·하반기 또는 연중 특정 기간 운영 /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 방법 : 잡아바 어플라이에서 온라인 접수(PC/모바일)
- 절차 :회원가입·로그인 → 2) 사업 선택 → 3) 신청서 작성→ 4) 증빙 업로드 → 5) 제출 → 6) 마이페이지 보완·결과 확인
5. 제출 서류·작성 팁 )
거주/신분 | 주민등록(등·초)본 등 | 최신본 제출, 주소·생년월일 식별 |
응시 증빙 | 응시표/접수확인, 결과통보 등 | 응시일·본인 정보 식별 |
결제 증빙 | 카드전표/현금영수증 등 | 결제자·결제일·금액 식별, 간이영수증 지양 |
미취업 증빙 | 건강보험 자격득실, 고용보험 피보험내역 등 | 응시일 기준 미취업 확인 가능해야 함 |
계좌 증빙 | 통장 사본 등 | 예금주·계좌번호 식별 |
작성 팁
- 날짜가 안 보이는 캡처는 불인정 가능 → 응시일·결제일 명확 표기
- 본인 식별 불가(이름·수험번호 누락) → 필수 항목 보이도록 캡처
- 결제 증빙은 간이영수증 지양, 카드전표/현금영수증 권장
- 여러 건 신청 시 건별 증빙을 분리 업로드하면 심사에 유리
6. 자주 하는 실수 & 승인되는 예시
- 시험 결과만 올리고 응시 확인 자료 누락 → 응시표/접수내역 + 결과
- 회사 내부 서식만 올림(식별 항목 부족) → 공식 문서 + 필수 항목 보이는 캡처
- 응시일 이후 취업했다고 불가로 오해 → 응시일 기준 충족 시 가능(시·군 공고 확인)
7. 시·군별 차이 포인트
- 접수 일정: 5~11월 등 운영 시기가 다름
- 연령 범위: 표준 청년 정의를 따르되, 조례로 예외 가능
- 지급 방식/시점: 순차 지급/일괄 지급 등 디테일 상이
- 반드시 거주지 시·군 공고를 최우선으로 확인
8. 결론
아무래도 미취업인 상태에서 여러 자격증을 따려면 응시료에 대한 부담이 큰데요, 이렇게 경기도에서 지원해주는 사업이 있으니 어학 점수나 자격 취득을 통해 면접 기회를 넓힐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의정부 시에 거주하고 있어서 이런 지원사업이 큰 도움이 됩니다!
만약 필요하시다면 지금 거주지의 시·군 공고를 확인하시고, 예산 소진이 되기 전에 얼른 아래 링크에서 신청해보세요~!
9. 자주 묻는 질문(FAQ)
Q1. 단기 계약직인데 신청 가능할까요?
→ 시·군 공고 기준입니다. 일부는 단기·초단시간 근로를 미취업 간주하기도 합니다. 애매하면 담당 부서에 사전 문의해 주세요. 확실하지 않음(시·군별 상이).
Q2. 어떤 시험이 인정되나요?
→ 어학 + 국가기술/국가공인 민간자격 등 공식·유효 시험군이 원칙입니다. 세부 목록은 시·군 공고 또는 담당 부서에 확인하세요.
Q3. 응시 이후에 취업했습니다. 그래도 가능한가요?
→ 핵심은 응시일 기준입니다. 응시일에 미취업이면 인정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다만 최종 판단은 시·군 공고가 기준입니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정부시 청년 노무 상담 지원 사업 공고(2025) (3) | 2025.08.28 |
---|---|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2025 신청방법 (2) | 2025.08.24 |
의정부시 청년 소프트웨어 구입비용(챗지피티 플러스 구독료)지원 신청 (8) | 2025.08.23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방법과 사용처 완벽 가이드 (0) | 2025.07.22 |
드디어 시작!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지원 받기 (0) | 2025.07.20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소상공인크레딧신청
- 수급방법
- K패스
- 소프트웨어구매비용 지원
- 챗지피티
- 의정부시정책
- 공과금지원
- 경기패스
- 소상공인50만원지원
- 소상공인정부지원
- 영화리뷰
- 민생회복소비쿠폰
- The경기패스
- 초파리박멸
- 데드레코닝
- 일반판매업
- chatgpt pro
- 4대보험료지원
- 구매대행
- 소진공지원사업
- 소상공인부담경감크레딧
- 민소쿠
- 의정부시노무상담비지원
- 챗지피티프로무료
- 의정부시 청년정책
- 챗지피티플러스구독료지원
- 더경기패스
- 사주어플
- 의정부노무지원
- 벼룩파리박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